2025년 청년 전세임대 1순위 입주자 수시모집 총정리 (소득계산방법 포함)
📢 청년 전세임대 주택은 주거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생활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특히 1순위 청년은 더 유리한 조건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청년 전세임대 1순위 모집 공고, 신청 자격, 소득 계산 방법 등을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📅 2025년 청년 전세임대 1순위 모집 개요
- 공고 상태: 접수 중
- 접수 기간: 2025년 2월 7일(10:00) ~ 12월 31일(18:00)
- 임대 유형: 전세임대
- 문의처: ☎ 1670-0002
- 임대 기간: 최초 2년 + 2년 단위 4회 재계약 가능 (최대 10년)
- 지원 한도:
- 수도권: 최대 1억 2,000만 원
- 광역시: 최대 9,500만 원
- 기타 도 지역: 최대 8,500만 원
📌 청년 전세임대 1순위 신청 자격
아래 조건을 충족하는 무주택 청년(만 19~39세)만 신청 가능
-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자 (생계, 주거, 의료급여 수급 가구의 청년)
- 한부모가족 지원 대상 청년
- 차상위계층 가구 청년 (소득 기준 충족)
⚠️ 혼인 중인 경우 신청 불가
⚠️ 신청자가 많을 경우 모집 조기 마감될 수 있음
🏡 공급 정보 및 지역별 모집 현황
✔ 대상 주택:
- 전용면적 85㎡ 이하 전세 또는 보증부 월세 계약 가능 주택
- 수도권, 광역시, 기타 도 지역 가능
✔ 공급 규모:
총 7,000호 공급 (서울, 부산, 인천 등 전국 가능)
✅ 예시: 서울 지역본부 공급 현황
지역 | 총 공급 | 대학생 | 취업준비생 | 청년 |
---|---|---|---|---|
서울 종로구 | 30 | 10 | 10 | 10 |
서울 중구 | 30 | 10 | 10 | 10 |
서울 용산구 | 30 | 10 | 10 | 10 |
서울 성동구 | 30 | 10 | 10 | 10 |
👉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신청 가능!
💰 소득 계산 방법 (청년 전세임대 1순위 선정 기준)
1️⃣ 본인의 소득이 없는 경우
- 부모님의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으로 산정됨
- 건강보험료 납부액이 차상위계층 기준 이하라면 신청 가능
2️⃣ 본인의 소득이 있는 경우
- 월 소득(세전) X 12개월 = 연 소득 계산
- 연 소득이 4,000만 원 이하라면 신청 가능
- 사업소득, 근로소득, 이자소득, 연금소득 포함
3️⃣ 소득 인정액 계산 공식
소득 인정액 = 근로소득 + 사업소득 + 재산 소득 + 연금소득 - 공제금액
- 소득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1순위에서 제외될 수 있음
📍 신청 방법 및 절차
✅ 신청 방법
- LH 청약센터 접속
- 청년 전세임대 1순위 입주자 모집 공고 확인
- 온라인 신청서 제출
- 소득 증빙 서류 제출 (필수!)
✅ 필요 서류
- 📌 주민등록등본
- 📌 소득확인서류 (건강보험료 납부 증명서, 근로소득 확인서 등)
- 📌 전세 계약서 (계약 체결 후 제출)
📞 LH 고객센터 상담: ☎ 1670-0002
💡 결론: 청년 전세임대 1순위, 꼭 신청해야 할까?
- 정부 지원으로 저렴한 임대료 → 초기 보증금 100만 원, 월 임대료 최저 연 1%
- 최대 10년 거주 가능 → 안정적인 주거 환경
- 소득 조건 충족 시 1순위 선정 가능 → 차상위계층, 수급자, 한부모가족 우선 지원
🏡 청년이라면? 부담 없이 전세 계약을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!
📅 2025년 접수 기간을 놓치지 말고 지금 신청하세요!
🚀 이 글을 저장하고, 꼭 지원하세요! 💙
✅ 공식 공고문 및 신청 링크: 청약 신청 바로가기
📞 LH 상담센터: 1670-0002
📢 추가 문의는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