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청년 전세자금대출 비교 (HUG vs HF) & 신청 방법

청년(만 19~34세)의 전·월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택도시보증공사(HUG)와 주택금융공사(HF)에서 전세자금대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두 기관의 대출 상품은 대출 한도, 금리, 보증방식, 소득 조건 등이 다르므로 본인 조건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✅ 1. 청년 전세자금대출 비교 (HUG vs HF)

구분 주택도시보증공사(HUG) 한국주택금융공사(HF)
금리(연) 3.3~4.5% (변동금리) 2.5~3.3% (고정금리)
최대 대출 한도 최대 2억 2천만 원 최대 1억 원
보증금 한도 수도권 7억 원, 지방 5억 원 이하 수도권 5억 원, 지방 4억 원 이하
보증 방식 전세보증금 100% 보증 전세보증금 90% 보증
소득 조건 개인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개인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대출 기간 2년 (최대 4년 연장 가능) 2년 (최대 10년 연장 가능)
대출 실행 은행 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 등 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 등

📌 Tip:
- 대출 한도가 중요하다면?HUG 전세자금대출
- 낮은 금리와 고정금리를 원한다면?HF 전세자금대출


✅ 2. 각 상품별 상세 조건 및 신청 방법

📍 1) 주택도시보증공사(HUG) 청년 전세자금대출

  • 금리: 연 3.3~4.5% (변동금리)
  • 대출 한도: 최대 2억 2천만 원
  • 보증금 한도: 수도권 7억 원, 지방 5억 원 이하
  • 보증 방식: 전세보증금 100% 보증
  • 소득 조건: 개인 연소득 7천만 원 이하
  • 대출 기간: 2년 (최대 4년 연장 가능)
  • 대출 가능 은행: 국민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 등
  • 신청 링크: HUG 공식 홈페이지

📍 2) 한국주택금융공사(HF) 청년 전세자금대출

  • 금리: 연 2.5~3.3% (고정금리)
  • 대출 한도: 최대 1억 원
  • 보증금 한도: 수도권 5억 원, 지방 4억 원 이하
  • 보증 방식: 전세보증금 90% 보증
  • 소득 조건: 개인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  • 대출 기간: 2년 (최대 10년 연장 가능)
  • 대출 가능 은행: 국민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 등
  • 신청 링크: HF 공식 홈페이지

✅ 3. 청년 전세자금대출 신청 방법

📍 1) 사전 준비

  • 소득증빙 서류: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, 급여명세서 등
  • 임대차계약서: 계약금 지급 완료
  • 주민등록등본: 무주택 확인

📍 2) 대출 신청

  • HUG 전세자금대출: 시중은행 앱 또는 방문 신청
  • HF 전세자금대출: 시중은행 앱 또는 방문 신청

📍 3) 심사 및 승인

  • 신용등급 및 소득 심사 진행
  • 대출 승인 후 임대차 계약서에 근저당 설정

📌 Tip: 계약 전 대출 한도 조회 및 사전 상담을 받으면 승인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
📌 결론: 청년 전세자금대출,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까?

  • 대출 한도가 높아야 한다면?HUG 청년 전세자금대출
  • 낮은 고정금리를 원한다면?HF 청년 전세자금대출
  • 보증금이 5억 원 이상이라면?HUG 청년 전세자금대출

📌 본인의 소득, 대출 한도, 금리 조건을 비교한 후 최적의 대출 상품을 선택하세요!
각 상품별 신청 링크를 활용해 빠르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