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 면적 용어 쉽게 이해하기(전용면적,분양면적,계약면적,공용면적)

 

부동산 계약이나 분양 정보를 볼 때 자주 등장하는 전용면적, 주거공용면적, 분양면적, 기타공용면적, 계약면적, 서비스면적이라는 용어들을 실제 예시와 함께 쉽게 이해해봅니다.

주택 면적을 표시한 그림
용어 정의 및 예시 주요 특징 및 설명 참고 링크
전용면적 - 내가 실제로 생활하는 순수한 내부 공간 (예: 방, 거실, 주방, 욕실)
- 예: 계약서에 “전용면적 84㎡”로 표기됨
- 생활의 편의와 직접 관련
- 리모델링, 인테리어 등 실제 사용에 영향을 미침
국토교통부 면적 안내
주거공용면적 - 입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 (예: 아파트 복도, 계단, 로비)
- 예: 아파트 전체의 공용 통로 및 공용 시설
- 개별 사용은 불가하지만, 건물 전체의 관리 및 안전에 중요
- 분양면적에 포함됨
아파트 관리 정보
분양면적 - 전용면적과 주거공용면적을 모두 포함한 면적
- 예: 광고에서 “분양면적 100㎡”라고 할 때 실제 전용면적은 더 작을 수 있음
- 마케팅 및 광고용으로 넓게 표기되는 경우가 많음
- 실제 거주 가능한 공간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
분양면적 설명
기타공용면적 - 주거공용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부대시설 영역 (예: 단지 내 주차장, 정원, 놀이터 등)
- 예: 아파트 단지의 외부 부대시설 면적
- 건물 관리 및 유지보수에 포함
- 계약면적 산정 시 반영됨
부동산 용어 해설
계약면적 - 전용면적, 주거공용면적, 기타공용면적을 모두 합한 수치
- 예: “계약면적 90㎡”는 전용면적 84㎡ + 공용공간 포함
- 부동산 거래 시 공식적으로 표기되는 면적
- 실제 거주 공간과 다를 수 있으므로 꼼꼼한 확인이 필요
국토교통부 계약면적 안내
서비스면적 -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추가 부대 공간
- 예: 발코니, 알파룸, 베타룸, 펜트리 등이 해당
- 주거 환경의 추가 기능성을 제공
- 생활 편의 및 여유 공간으로 활용 가능
(참고 링크 없음)

추가 설명 및 예시

1. 전용면적

예를 들어, 아파트 계약서에 “전용면적 84㎡”라고 기재되어 있다면, 이는 집 안의 순수 생활 공간만을 의미합니다. 실제로 거실, 주방, 침실 등 직접 사용하는 공간입니다.

2. 주거공용면적

아파트의 복도, 계단, 로비 등은 모두 입주민이 함께 사용하는 공간입니다. 개별 거주 공간은 아니지만, 건물의 안전과 편의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3. 분양면적

광고에서 “분양면적 100㎡”라고 하면, 이는 전용면적과 주거공용면적을 모두 포함한 수치입니다.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전용면적 부분만 해당되므로, 실제 생활 공간은 이보다 작을 수 있습니다.

4. 기타공용면적

아파트 단지 내 주차장, 정원, 놀이터 등은 기타공용면적으로 분류됩니다. 이 면적은 건물 전체 관리 및 유지에 포함되지만, 개별 생활 공간으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.

5. 계약면적

최종 계약 시 기재되는 면적으로, 전용면적, 주거공용면적, 기타공용면적의 총합입니다. 계약면적이 크다고 해서 모두 생활공간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
6. 서비스면적

서비스면적은 발코니, 알파룸, 베타룸, 펜트리와 같이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추가 부대 공간입니다. 이 공간들은 생활 편의와 추가 수납공간을 제공하여 집의 기능성을 높여줍니다.

마무리

부동산 면적 용어들은 각각 다른 의미와 활용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. 실제 계약 시에는 각 면적의 정의와 산출 방식을 꼼꼼히 확인하여, 내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과 계약서상의 수치 차이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위의 표와 예시를 참고하여 보다 현명한 부동산 선택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.